'대학 어디가' 사이트를 통해 지난 입시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관심 대학/학과의 입시 결과 분석을 통해 수시지원전략을 수립해보자.
#입결 #50% cut #70% cut #충원 인원 #실질 경쟁률 #충원율
1. 입결 뜻
입결이란 '대학 입학시험 결과', '입시 결과'의 줄임말이다. 입시가 끝난 이듬해 각 대학에서 상위누적 백분위를 바탕으로 합격자 또는 최종등록자의 성적대를 발표한다.
입결이 높다는 뜻은 해당 학교/학과에 입학하기 위한 점수의 합격선이 높다는 의미이다. 50% cut, 70% cut의 의미는 100명 중 50등 한 학생의 점수, 70등 한 학생의 점수를 의미한다. 입결 데이터를 분석할 때 전형의 종류, 평가 요소, 정시의 경우 모집군 등을 고려해야 한다. 입결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흐름을 분석해보면 특정 학교의 지원 추세를 대략 예측해볼 수 있다.
2. '대학 어디가' 입결 자료 확인
[대학 어디가 메인 > 대입 정보센터 > 대학별 입시정보 > 전형 평가 기준 및 결과공개] 페이지에서 입시 결과 자료를 확인한 후 몇 가지 관점으로 입결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입시 결과 자료를 어떻게 확인하는지 알아보자.
검색창에서 관심 있는 대학 명을 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팝업창이 뜨면서 2022학년도 전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부교과전형, 수능위주전형 별로 전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아래 팝업창의 주소를 '즐겨찾기' 또는 '북마크' 해서 저장해두면 번거롭게 매번 메뉴를 통해 접근하지 않아도, 대학명을 바꿔가면서 쉽고 빠르게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Tip] 현재 성적으로 갈 수 있는 대학 확인법
고3은 각종 사이트의 합격예측 프로그램이나, 모의고사풀서비스 등을 활용해서 전년도 대학 입시 결과를 토대로 분석해보는 것이 가능하다. 고1, 2의 경우 모의고사 시험 범위가 수능 범위와 다르고, 평가원 출제시험이 아닌 경우 출제방향도 다르기 때문에 분석결과의 정확도는 낮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전국에서 현재 학생의 위치를 확인하고, 대입에서 어느 정도 대학 라인에 합격이 가능한지를 미리 확인해본다면 구체적인 목표를 수립하고 대입 준비의 전략을 짜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지금 모의고사 성적으로 합격 가능한 대학과 인서울 대학 합격 가능 여부를 확인해보고 싶다면 무료 체험이 가능한 모의고사 분석 서비스를 활용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위도와경도 서비스에서는 대학어디가에서 발표한 입시결과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결과를 제공한다. 학생의 모의고사 백분위 평균 점수를 입력하면 갈 수 있는 대학 라인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대학좌표 위도와경도에서 무료로 모의고사 성적 분석받기
분석 서비스 활용 시 입결은 매년 변경될 수 있다는 점, 모집단이 다르고 시험 난이도가 다르기때문에 오차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서 해석에 주의를 해야한다. 모의고사 성적 분석 자료는 대략의 대학 라인을 파악하는 정도의 참고자료로만 활용하기 바란다.
3. 입결 자료 해석방법
아래 표는 고려대학교 2022학년도 '학생부 종합전형' 입시 결과의 일부이다. 각 학과별로 모집인원, 경쟁률, 충원 인원, 최종 등록자 교과성적 환산 등급 50% cut, 70% cut, 산출 반영 교과목 기준을 파악할 수 있다.
항목별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 모집인원 : 각 모집단위 별로 선발하는 인원수를 의미한다.
- 경쟁률 : 모집인원 대비 지원자 수를 파악할 수 있다. 사회학과의 경우 경쟁률이 18.1:1이므로 지원자 수는 362명이다. (20 x 18.1 = 362)
- 충원 인원 : 추가합격을 통해 등록한 인원을 파악할 수 있다. 예비번호를 받았지만 등록하지 않은 학생도 있기 때문에 예비번호와 충원 인원은 다를 수 있다. 사회학과의 경우 총합격 인원은 41명이다. (20 + 21 = 41)
- 사회학과 지원자 수 362명, 합격 41명이므로 실질 경쟁률은 8.83:1이다. (362 / 41 = 8.829)
- 최종 등록자 교과성적 환산등급 50% cut, 70% cut : 최종 등록한 학생들 중 상위 50%, 상위 70%에 위치한 학생의 등급을 의미한다.
- 산출 반영 교과목 : 교과성적 환산 등급을 산출한 기준을 말한다.
- 충원 비율 : 사회학과의 경우 충원 비율은 105%이다. 만약 사회학과의 모집인원이 20명에서 10명으로 줄었다고 한다면, 예상 합격자 수도 충원 비율을 고려해서 49명에서 20~21명으로 줄어든다.
이 표에서 50% cut과 70% cut의 차이가 몇 점인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점수 차이가 크다면 아이들이 듬성듬성 있는 것이고 차이가 조밀하다면 아이들이 빽빽하게 있는 것이다.
교과 전형의 경우 점수 차이는 아이들의 밀집 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점수 차이가 적다면 아이들이 조밀한 것이며 실제 입결에 변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점수 차이가 크다면 아이들이 듬성듬성 있다는 것이고, 변수가 생길 가능성이 커지고 이에 따라 입결이 낮아질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해석해볼 수 있다. 종합전형의 경우 50% cut과 70% cut의 차이가 크면 클수록 '활동의 영향력'이 크고, 차이가 작을수록 '활동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다.
전형의 특징에 따라 동일한 점수 차이를 해석하는 방법이나 관점이 다르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교과 전형은 조밀도를 의미하고, 종합전형은 활동 영향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집 방법과 전형 방법이 바뀌었거나, 경쟁 대학의 전형 방법이 바뀌어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렇게 상황의 변화로 인해 해석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해석에 주의해야 한다.
4. 관심 있는 학교, 학과 분석법
관심이 있는 학교, 학과에 대해 지금 시기에 정확하게 분석해보는 것이 좋다. 아래와 같이 다양한 관점으로 분석해볼 수 있다. 그중 두 가지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 동일 학과, 3년 치 입결을 비교해본다.
- 비교할만한 대학들의 비슷한 모집 단위와 입결을 비교해본다.
- 동일 대학 내 동일 학과, 다른 전형의 입결을 비교해본다.
(1) 동일 학과, 3년 치 입결을 비교해본다.
3년간 추이와 변화를 살펴보면서 특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아래 예시를 살펴보자.
<예시 - 사회학과>
2020년 / 모집인원 10 / 경쟁률 15.4 / 충원 인원 11 / 50% 1.8x / 70% 1.9x
2021년 / 모집인원 10 / 경쟁률 9.1 / 충원 인원 21 / 50% 1.8x / 70% 1.9x
2022년 / 모집인원 10 / 경쟁률 9.3 / 충원 인원 8 / 50% 2.3 / 70% 2.76
2020년에는 타 학년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높았다. 2021년에는 충원 인원이 급격히 늘었다. 2022년에는 50%, 70% cut이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볼 수 있을 것이다.
- 경쟁률에서 2020은 이상 현상인가?
- 입결에서 2022는 이상 현상인가?
- 충원에서 2021은 이상 현상인가?
원서 접수가 가까워지면 시간과 돈을 들여서 컨설팅받는 경우가 많이 있다.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할 때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났는지 질문을 통해서 원인을 파악해보는 것이 좋다. 입결 데이터를 분석하고 특이점을 찾아내고 그 원인을 파악하는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입결 데이터를 어떤 관점으로 바라봐야 하는지를 어느 정도는 감 잡을 수 있을 것이다.
2022학년도 입결에서 컷이 낮아지는 현상은 왜 발생한 것일까? 아무래도 2022학년도에 교과 전형이 많이 생기면서 교과가 우수한 학생들이 상위 대학의 교과 전형에 합격했을 가능성이 있다. 관심 대학의 입결 추이를 예측하려면 3개년도의 입결 데이터를 보고, 변화 지점을 비교/분석해보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2) 비교할만한 대학들의 비슷한 모집 단위와 입결을 비교해본다.
다른 대학 내에 있는 비슷한 모집 단위의 입결을 찾아서 1) 학교별 특징, 2) 입결 내용에서 특이점 발견, 비교를 해보는 것이 좋다. 아래 학교들을 보면 경쟁률이 모두 11:1을 넘지만 충원 인원을 반영해 실질 경쟁률을 계산해보면 연세대학교는 4.56:1, 성균관대학교는 3.18:1, 한양대학교는 6.79:1이 된다. 특히 성균관대학교는 충원 비율이 258%로 높기 때문에 실질 경쟁률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이렇게 고지된 입시결과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정확하게 입결 상황을 파악하고, 자녀가 도전해볼만한 대학/학과를 알아본다면 지원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 입시 결과 자료를 어디서 확인하고, 자료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관심 대학/학과 분석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다음 글 - 입시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 (입결 보는 법) - 2편 - 에서는 동일 학과의 전형별 입결 분석과 대학별 다양한 입결 안내자료 보는 법을 알아볼 예정이다.
댓글